총 119건 중 119건 출력
, 1/12 페이지
-
1
-
『의미세계와 사회운동』, 정수복 지음, 『현대 한국 사회운동과 조직』, 조희연 지음
-
이종오;
;
(한국사회학 = Korean journal of sociology,
v.28,
1994,
pp.227-233)
-
2
-
한국 사회학의 성찰적 비판사회학을 향한 거대한 일보 : 정수복, 『한국 사회학의 지성사 1~4』(푸른역사, 2022)
-
지, 주형;
;
(경제와 사회 = Economy and Society,
v.134,
2022,
pp.358-375)
-
3
-
김경만의 ‘지적 도발’에 대한 정수복의 ‘응답’ - 글로벌 지식장과 로컬 지식장 사이에서
-
정수복;
;
(경제와 사회,
v.0,
2015,
pp.254-287)
-
4
-
For the Return to the Early Problematics of Korean Historical Sociology
-
Choi, Min Seok;
;
(사회와역사,
v.136,
2022,
pp.419-429)
-
5
-
Sociological Spirituality and Negativity of Life
-
Kim, Hong-Jung;
;
(한국사회학 = Korean journal of sociology,
v.54,
2020,
pp.207-214)
-
6
-
다시 사회학으로 돌아가기 위하여 — 정수복(2022), 『역사사회학의 계보학』, 푸른역사
-
최민석;
경상국립대학교;
(사회와역사(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),
v.0,
2022,
pp.419-429)
-
7
-
[기획시리즈/세계의 사회운동(3)]프랑스 반핵운동의 의미구성
-
정수복;
;
(경제와 사회 = Economy and Society,
v.23,
1994,
pp.162-182)
-
8
-
지배문화 너머 새로운 의미체계 찾는 문명전환운동
-
정수복;
사회운동연구소;
(출판저널 =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,
v.269,
1999,
pp.12-13)
-
9
-
생명가치를 지향하는 사회과학의 새로운 패러다임
-
정수복;
;
(동향과 전망,
v.35,
1997,
pp.262-278)
-
10
-
현대 프랑스 사회학의 한국적 수용을 위하여
-
정수복;
;
(동향과 전망,
v.19,
1993,
pp.258-27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