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988건 중 1,000건 출력
, 1/100 페이지
-
1
-
강원도 정선 지역 오르도비스기 정선석회암의 속성 역사
-
봉련식;
정공수;
충남대학교 지질학과;
충남대학교 지질학과;
(한국지구과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,
v.21,
2000,
pp.449-468)
-
2.
- 민요 '정선아리랑'과 정부기 '정선아리랑'의 주제에 의한 농요 분석 연구
- 李鎔菜
-
中央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ii, 127 p., 2001
-
3
-
정선황기의 세포유전학적 연구
-
한상은;
김현희;
허권;
강원대학교 식물자원응용공학과;
삼육대학교 생명과학과;
강원대학교 식물자원응용공학과;
(식물분류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,
v.43,
2013,
pp.139-145)
-
4.
- 서울제 정선 아리랑과 지방제 정선 아라리 비교 연구
- 김미정
-
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41 p., 2002
-
5.
- 초등교육현장에서의 정선아리랑 전수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: 정선지역 초등학교를 중심으로
- 박용문
-
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92, 2009
-
6
-
금보정선(琴譜精選)의 서문에 관한 연구
-
문주석;
국립국악원;
(음악과 문화,
v.0,
2008,
pp.189-210)
-
7
-
정선방언 운율유형에 관한 연구
-
최영미;
경동대학교;
(어문연구,
v.73,
2012,
pp.127-160)
-
8
-
정선아라리 7 - 객주
-
정평림;
;
(시조시학 = Poetics & Sijo,
v.38,
2011,
pp.38-38)
-
9
-
정선아리랑의 음악적 구조와 특성
-
김혜정;
;
(韓國民謠學 = The Korean folk song,
v.29,
2010,
pp.93-114)
-
10
-
本邦汀線の變遷
-
;
;
(Journal of Geography (Chigaku Zasshi),
v.1,
1889,
pp.561-56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