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이달의 저자 인터뷰-정병설 교수
-
이주연;
대한출판문화협회;
(출판저널 =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,
v.381,
2007,
pp.63-65)
-
2
-
[옥원재합기연]:탈가문소설적 시각 또는 시점의 맹아
-
정병설;
;
(韓國文化,
v.24,
1999,
pp.81-98)
-
3
-
『무정(無情)』의 근대성과 정육(情育)
-
정병설;
;
(韓國文化,
v.54,
2011,
pp.235-253)
-
4
-
조선시대 한문과 한글의 위상과 성격에 대한 一考 - 心身寓言의 비교를 통하여
-
정병설;
;
(韓國文化,
v.48,
2009,
pp.3-20)
-
5
-
한국고전여성소설 - 연구사와 연구전망
-
정병설;
;
(人文科學硏究論叢 = The journal of humanities,
v.21,
2000,
pp.23-34)
-
6
-
'옥원재합기연'의 여성소설적 성격
-
정병설;
;
(韓國文化,
v.21,
1998,
pp.45-62)
-
7
-
조선후기 동아시아 어문교류의 한 단면-동경대 소장 한글번역본『옥교리』를 중심으로-
-
정병설;
;
(韓國文化,
v.27,
2001,
pp.55-84)
-
8
-
18·19세기 일본인의 조선소설 공부와 조선관 - <최충전>과 <임경업전>을 중심으로 -
-
정병설;
;
(韓國文化,
v.35,
2005,
pp.27-55)
-
9
-
일반논문: 구운몽도 연구
-
정병설;
서울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06,
pp.379-407)
-
10
-
『국문장편 고전소설 감상사전』 편찬의 의의와 방향
-
정병설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화연구,
v.21,
2011,
pp.7-1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