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3건 중 183건 출력
, 1/19 페이지
-
1
-
임진왜란 의병 실기에 나타나는 전란 경험 글쓰기 - 정경운의 『고대일록』을 대상으로
-
윤인선;
한밭대학교;
(리터러시 연구,
v.13,
2022,
pp.393-415)
-
2
-
Jeong Gyeong-Woon‘s Assessment of People from Godaeilrok
-
Park, Da-hyeon;
;
(歷史 敎育 論集,
v.59,
2016,
pp.131-181)
-
3.
- 『孤臺日錄』에 나타난 의병 정경운의 임진왜란기 인물평가
- 박다현
-
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, 58p., 2015
-
4
-
『孤臺日錄』에 나타난 정경운의 인물평가
-
박다현;
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;
(역사교육논집,
v.0,
2016,
pp.131-181)
-
5
-
임진왜란기 정경운의『孤臺日錄』에서 보는 아래로부터의 聞見정보 - 實錄의 관련정보와의 비교를 중심으로
-
Min Deak-Kee;
;
(韓日關係史硏究= (The)Korea-Japan historical review,
v.45,
2013,
pp.141-171)
-
6
-
『고대일록』으로 본 정경운의 전란 극복의 한 양상
-
장경남;
숭실대학교;
(영남학,
v.0,
2015,
pp.325-360)
-
7
-
"얼음의 도가니"의 의미구조 고찰―시공간을 중심으로―
-
정경운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1,
1997,
pp.317-341)
-
8
-
WHEEL CHAIR사용자의 생활공간의 실태와 디테일(1)
-
정경운;
동국대공대;
(建築士 = Korean architects,
v.1984,
1984,
pp.62-68)
-
9
-
임진왜란 시기 경상도 사족의 전쟁 체험 - 함양 양반 정경운을 중심으로
-
정해은;
;
(역사와 현실,
v.2007,
2007,
pp.65-100)
-
10
-
한승원의 『불의 딸』 의미구조 분석-원시적 생명력을 중심으로-
-
정경운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16,
2002,
pp.297-32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