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밀양의 비극과 희극 사이에서 ‘공통자원’ 희망 찾기 프로젝트장훈교, 2016, 『밀양 전쟁』, 나름북스
-
이정필;
서강대학교;
(ECO,
v.20,
2016,
pp.457-463)
-
2
-
공간적 은유의 전환 - ‘구성적 외부’에서 바라본 민중과 민중사에 대한 연구노트
-
장훈교;
;
(역사연구,
v.2008,
2008,
pp.31-61)
-
3
-
그러나 동지는 전향자에게 우정을 인정하지 않는다, 『전향(轉向)의 사상사적 연구』/후지타 쇼조 지음/최종길 옮김/논형/2007
-
장훈교;
;
(역사연구,
v.2007,
2007,
pp.191-196)
-
4
-
비판사회학 인디밴드 학술운동 - 외부적 사유와 비제도적 실천형식
-
장훈교;
;
(경제와 사회 = Economy and Society,
v.73,
2007,
pp.424-430)
-
5
-
‘민주주의의 외부’와 급진민주주의 전략 - ‘민주주의의 사회화’를 위한 새로운 연대성의 정치학을 향하여
-
조희연;
장훈교;
;
(경제와 사회 = Economy and Society,
v.82,
2009,
pp.66-94, 323-324)
-
6.
- 노동의 자기조절 실현을 위한 노동능력의 공통자원으로 전환에 대한 연구 : 공통자원 개념을 통한 안토니오 그람시 조절사회 개념의 재구성
- 장훈교
-
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ix, 322 p., 2014
-
7
-
공간적 은유의 전환-‘구성적 외부’에서 바라본 민중과 민중사에 대한 연구노트-
-
장훈교;
성공회대학교;
(역사연구,
v.0,
2008,
pp.31-61)
-
8
-
그러나 동지는 전향자에게 우정을 인정하지 않는다
-
장훈교;
역사학연구소;
(역사연구,
v.0,
2007,
pp.191-196)
-
9
-
비판사회학 인디밴드 학술운동
-
장훈교;
성공회대학교;
(경제와 사회,
v.0,
2007,
pp.424-430)
-
10
-
엘리너 오스트롬의 ‘다중심적 접근’에 관한 기초 연구
-
장훈교;
제주대학교;
(사회와 이론,
v.0,
2019,
pp.101-13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