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12건 중 212건 출력
, 1/22 페이지
-
1
-
김동리의 장편역사소설 〈삼국기〉와 〈대왕암〉 연구
-
허련화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31,
2010,
pp.409-438)
-
2
-
김훈 소설의 자연주의적 맥락 - 장편 역사소설을 중심으로
-
김주언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49,
2010,
pp.231-248)
-
3
-
The narrative strategy of Choi Myung-ik’s full-length historical novel <Seosandaesa>
-
Kim, Hyojoo;
;
(현대문학이론연구= (The)Journal of modern literary theory,
v.93,
2023,
pp.103-123)
-
4
-
김훈 소설의 자연주의적 맥락 ― 장편 역사소설을 중심으로
-
김주언;
단국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14,
2010,
pp.231-248)
-
5
-
[문화 이슈] 《대한민국 역사교과서 1·2》 발간에 부쳐―김훈의 장편 소설 《하얼빈》을 ‘비판적’으로 다시 소환하다
-
JEON, CHANIL;
;
(역사와융합,
v.20,
2024,
pp.355-368)
-
6
-
합일(合一)에의 열망과 경주(신라)의 신화적 형상화 - 김동리 장편 역사소설 「삼국기」(상편), 「대왕암」(하편)을 중심으로
-
신정숙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56,
2012,
pp.157-182)
-
7
-
최명익 북한 장편 역사소설 『서산대사』의 서사전략
-
김효주;
안동대학교;
(현대문학이론연구,
v.0,
2023,
pp.103-123)
-
8
-
합일(合一)에의 열망과 경주(신라)의 신화적 형상화 - 김동리 장편 역사소설 「삼국기」(상편), 「대왕암」(하편)을 중심으로
-
신정숙;
연세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16,
2012,
pp.157-182)
-
9
-
김훈 소설에서의 음식의 문제 - 장편 역사소설을 대상으로
-
김주언;
단국대학교;
(우리어문연구,
v.0,
2012,
pp.389-412)
-
10
-
김훈 소설의 자연주의적 맥락 ― 장편 역사소설을 중심으로
-
김주언;
단국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14,
2010,
pp.231-24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