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삼국시대 영역사 연구의 새로운 이해를 위한 단단한 디딤돌 : 장창은, 고구려 남방 진출사 , 경인문화사, 2014
-
이, 준성;
;
(韓國古代史探究= Sogang journal of early Korean history,
v.17,
2014,
pp.173-185)
-
2
-
삼국시대 영역사 연구의 새로운 이해를 위한 단단한 디딤돌 (장창은, 『고구려 남방 진출사』, 경인문화사, 2014)
-
이준성;
연세대학교;
(한국고대사탐구,
v.0,
2014,
pp.173-185)
-
3
-
현실 인식과 지향의 거리 - 김창술론
-
장창영;
;
(國語文學,
v.38,
2003,
pp.161-190)
-
4
-
서정주 시의 구술성 연구-『질마재 신화』를 중심으로
-
장창영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14,
2002,
pp.334-354)
-
5
-
디지털을 활용한 글쓰기 교수-학습 전략
-
장창영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20,
2003,
pp.396-417)
-
6
-
디지털 문학의 텍스트성과 입체화 전략
-
장창영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25,
2004,
pp.329-349)
-
7
-
시교육에서 방언 사용의 함의
-
장창영;
;
(국어국문학,
v.138,
2004,
pp.207-234)
-
8
-
디지털 시대의 정전 위상과 의미
-
장창영;
;
(國語文學,
v.47,
2009,
pp.191-211)
-
9
-
다문화가정 학습자를 위한 국어교육 방안 - 초등학교 저학년의 표현교육을 중심으로
-
장창영;
;
(다문화콘텐츠연구 = Journal of multi-cultural contents studies,
v.11,
2011,
pp.357-389)
-
10
-
언어-문학영재의 시적 언어능력 활성화 방안
-
Jang, Changyoung;
;
(國語文學,
v.55,
2013,
pp.209-23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