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,282건 중 1,000건 출력
, 1/100 페이지
-
1.
- 장애인을 위한 사회통합정책에 관한 연구 : 한국과 스웨덴의 고용정책과 직업재활, 연금제도를 중심으로
- 신명숙
-
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v, 130 p., 2014
-
2
-
장애학의 다중 패러다임과 한국 장애인복지의 성격 - 장애인복지법을 중심으로 -
-
이동석;
성공회대학교;
(韓國社會福祉學 =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,
v.56,
2004,
pp.227-251)
-
3.
- 장애노인의 장애인 복지관 이용 저해요인.
- 김인수
-
한서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, 국내석사,
67 p., 2012
-
4
-
고령자 및 장애자를 위한 복지정보통신기술
-
이재환;
정보분석실;
(전자통신동향분석 =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,
v.11,
1996,
pp.165-180)
-
5
-
대학의 장애대학생 교육복지 지원 실태 비교 분석
-
이태수;
오유정;
전남대학교;
국립특수교육원 교육연구사;
(통합교육연구,
v.10,
2015,
pp.57-77)
-
6
-
장애학생 교육복지 지원에 관한 대학 내 이해관계집단의 인식유형
-
이재환;
이수경;
순천제일대학교 사회복지과;
거제대학교 사회복지과;
(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=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,
v.12,
2012,
pp.183-198)
-
7
-
80년대의 장애자 복지전망
-
전병훈;
보사부 사회국;
(대한간호 = The Korean nurse,
v.20,
1981,
pp.8-11)
-
8
-
3개 신문사 기사에 나타난 장애관 연구 : 장애인복지법상 장애 종류를 중심으로
-
임옥희;
조원일;
경기대학교 사회복지학과;
경기대학교 사회복지학과;
(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= Journal fo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,
v.14,
2020,
pp.487-500)
-
9
-
장애청소년 생활실태와 복지욕구 지원방안 연구
-
유명화;
;
(재활 복지 =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,
v.10,
2006,
pp.86-115)
-
10
-
장애 가구와 비장애 가구의 복지사업 중요성 인식 유형과 영향요인 분석: 부산시 복지실태조사를 중심으로
-
전혜영;
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;
(장애인복지연구,
v.13,
2022,
pp.61-8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