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3건 중 93건 출력
, 1/10 페이지
-
1
-
한말 일제하 장시와 포구의 존재 양태 - 廣川場과 甕岩浦市의 물류 유통구조를 중심으로
-
趙宰坤;
;
(한국 근현대사 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,
v.46,
2008,
pp.27-52, 280-281)
-
2
-
<화산선계록>의 여성반동인물 연구
-
장시광;
;
(국어국문학,
v.135,
2003,
pp.307-342)
-
3
-
〈소현성록〉연작의 여성수난담과 그 의미
-
장시광;
;
(우리 文學 硏究 =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,
v.28,
2009,
pp.131-165)
-
4
-
대하소설 갈등담의 구조 시론
-
장시광;
;
(국어국문학,
v.142,
2006,
pp.187-211)
-
5
-
「화산선계록」에 나타난 계모이야기의 양상과 의미
-
장시광;
;
(國際語文 =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,
v.28,
2003,
pp.85-119)
-
6
-
〈현몽쌍룡기〉 연작에 형상화된 여성수난담의 성격
-
장시광;
;
(국어국문학,
v.152,
2009,
pp.365-410)
-
7
-
한말 일제하 장시와 포구의 존재 양태 廣川場과 甕岩浦市의 물류 유통구조를 중심으로
-
조재곤;
경원대학교;
(한국근현대사연구,
v.0,
2008,
pp.27-52)
-
8.
- 대하소설의 여성반동인물 연구
- 장시광
-
서울大學校, 국내박사,
vi, 202p., 2004
-
9
-
<쌍천기봉> 여성수난담의 특징과 그 의미
-
장시광;
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10,
pp.187-232)
-
10
-
<하진양문록>에 나타난 여성영웅의 정서와 이중적 정체성
-
장시광;
;
(온지논총,
v.0,
2016,
pp.81-11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