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장만영 시 연구
- 김세영
-
성신여자대학교, 국내석사,
iv, 92, 2005
-
2.
- 장만영 시에 나타난 추억의 의미
- 강민주
-
인제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50 p, 2012
-
3.
- 장만영 시의 공간 연구
- 김미숙
-
동아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74p., 2004
-
4
-
장만영 시의 창작배경과 그 특징
-
김종호;
;
(우리 文學 硏究 =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,
v.19,
2006,
pp.331-346)
-
5
-
회귀와 환상의 이미지즘 - 장만영론 -
-
유성호;
한양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,
v.0,
2014,
pp.67-86)
-
6
-
장만영 시연구
-
한영옥;
성신여자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,
v.0,
2005,
pp.321-352)
-
7.
- 장만영 시 연구 : 시에 나타난 여성적 이미지를 중심으로
- 안은숙
-
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ⅱ, 78 p., 2007
-
8
-
장만영 시에 나타난 ‘환상성’ 연구
-
박호영;
한성대학교;
(국어교육,
v.0,
2004,
pp.743-769)
-
9
-
장만영 시의 반복과 변주 연구
-
오형엽;
고려대학교;
(어문연구,
v.84,
2015,
pp.297-327)
-
10
-
장만영 시의 창작배경과 그 특징
-
김종호;
상지대학교;
(우리문학연구,
v.0,
2006,
pp.334-34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