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근대기 일본 ‘중세(中世)문학’의 형상 창출 연구 ‒‘일본문학사’와 ‘일본사’의 대조를 통해‒
-
엄인경;
고려대학교;
(일본근대학연구,
v.0,
2013,
pp.163-178)
-
2
-
일본 중세 가나(仮名) 법어의 문학성 - 선(禪)문답집 『몽중문답(夢中問答)』을 중심으로
-
엄인경,;
;
(아시아문화연구,
v.28,
2012,
pp.121-150)
-
3
-
일본문학으로 일본읽기
-
최재철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외국문학연구,
v.0,
1996,
pp.257-276)
-
4
-
한국ㆍ동아시아ㆍ세계문학사의 중세
-
조동일;
계명대학교;
(비교문학,
v.0,
2005,
pp.59-72)
-
5.
- 中世伊勢物語注釋書の展開-古注から구注へ
- 김임숙
-
關西大學, 국외박사,
1v.(various pagings), 1999
-
6.
- 1910년대 유학생 잡지와 근대소설의 전개과정 : '학지광', '여자계', '삼광'을 중심으로
- 서은경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, 175 p., 2011
-
7.
- 『쓰레즈레구사(徒然草)』 연구 : 겐코(兼好)의 글쓰기 의식을 중심으로
- 엄인경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i, 214 p., 2006
-
8
-
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 한국어문학의 성립과 A. A. 홀로도비치
-
김태우;
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;
(한국학연구,
v.0,
2021,
pp.37-64)
-
9
-
日本平安後期∼中世初の物語作品における 巫女像に関する一考察
-
김수미;
고려대학교;
(일본연구,
v.0,
2023,
pp.215-235)
-
10
-
漢南 李福休의 華夷論
-
김형섭;
원광대학교;
(漢文學報,
v.14,
2006,
pp.346-36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