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야마구치 에카이(河口惠海) -최초로 티벳(西藏)에 진입했던 일본인
-
리리;
;
(亞細亞文化硏究,
v.8,
2004,
pp.339-356)
-
2.
- 일본인 학습자를 위한 경음 발음 교육 방안 연구
- 송미, 점자
-
부산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81 p., 2016
-
3.
-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적응에 관한 연구
- 와타나베 요시야스
-
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x, 100 p., 2002
-
4.
- 일본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화교육 방안 연구
- 복전, 간
-
부산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88 장, 2020
-
5
-
[개별연구] 한국인과 일본인 영혼관의 연원(淵源)에 관한 일고찰(一考察)-초혼재생(招魂再生), 정화(淨化), 탈혼(脫魂)-
-
세키네 히데유키;
;
(日本文化硏究 = Japanese cultural studies,
v.4,
2001,
pp.95-119)
-
6.
- 일본인 학습자의 특성이 한국어 말하기 학습에 미치는 영향
- 관원, 사기
-
부산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74 장, 2020
-
7.
- 일본인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글 자모 연상교육 방안 연구
- 황은미
-
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ⅶ, 104 p., 2013
-
8.
-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전략 사용 양상 연구
- 키노시타 히토미
-
부산대학교, 국내석사,
94, 2019
-
9.
- 다이쇼 시기 多國人잡지 『亞細亞公論』의 일본인 필자의 구성과 政論
- 온우준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65, 2021
-
10.
- 일본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조사 '인'과 '의'의 교육 방안 연구
- 호차, 가내혜
-
부산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76 p., 201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