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49건 중 249건 출력
, 1/25 페이지
-
1
-
KCI 인문학과 사회과학 학술지의 다학문성과 학제성 분석: 일반 및 기타 분야를 중심으로
-
이재윤;
명지대학교 문헌정보학과;
(정보관리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,
v.38,
2021,
pp.227-250)
-
2
-
속담에 나타난 전통 인문학적 사유
-
민현식;
;
(한국어 의미학= Korean semantics,
v.11,
2002,
pp.199-234)
-
3
-
살아있는 장기기증자의 건강과 자기결정권 보장을 위한 법정책적 제언: 신장기증자를 중심으로
-
유수정;
이봄이;
박소연;
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의예과;
경희대학교 일반대학교 의학과;
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 및 의인문학교실;
(생명윤리 = Journal of the Korean Bioethics Association,
v.20,
2019,
pp.25-44)
-
4
-
일본 대학의 동양고전 관련 디지털 인문학 교육 현황
-
박영미;
단국대학교;
(대동한문학(大東漢文學),
v.69,
2021,
pp.343-370)
-
5
-
'출구'로서의 평생교육 : 인문학의 위기에 대한 평생교육적 진단
-
정민승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(평생교육학연구,
v.14,
2008,
pp.1-19)
-
6
-
‘병리 인문학’ 연구 방법론 제시 ― 코로나19 시기의 영화 ⟨폭포⟩(2021) 분석
-
보메이;
서울대학교;
(아시아문화연구,
v.66,
2024,
pp.77-111)
-
7
-
마음인문학의 학문적 성격과 도야적 탐구
-
안관수;
원광대학교;
(디지털정책연구 =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& management,
v.9,
2011,
pp.153-164)
-
8
-
사회사에 기대 읽어 본 우리 사회 인문학자들의 비인문학스런 모습
-
박정신;
;
(현상과 인식 = The Korean journal of humanities and the social sciences,
v.31,
2007,
pp.56-71, 211-212)
-
9
-
대학의 일반생물학 수업에서 인간 진화의 내용과 의미
-
윤혜섭;
장수철;
건국대학교;
연세대학교;
(교양교육연구,
v.15,
2021,
pp.133-144)
-
10.
- 초등학생을 위한 교과융합형 식물수업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
- 차혜련
-
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113 p., 201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