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2건 중 182건 출력
, 1/19 페이지
-
1
-
일제하 ‘조선왕실’의 지위와 이왕직의 기능
-
이윤상;
;
(韓國文化,
v.40,
2007,
pp.315-342)
-
2
-
이왕직아악부의 『조선음악서』 편찬과 그 의미
-
김은자;
서울대학교;
(한국음악사학보,
v.0,
2023,
pp.63-104)
-
3
-
일제강점기 이왕직 편 『조선음악사』 편찬연구
-
이수정;
한국학중앙연구원 전통한국연구소;
(이화음악논집,
v.28,
2024,
pp.71-105)
-
4.
- 20세기 전반(1905-1945) 한국도자 수집 연구 : 이왕가박물관·조선총독부박물관을 중심으로
- 전남언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289 p, 2023
-
5
-
일제하 '조선왕실'의 지위와 이왕직의 기능
-
이윤상;
;
(한국문화,
v.0,
2007,
pp.315-342)
-
6
-
이왕직아악부 관련 악보 간행에 대한 배경적 고찰-장서각 소장『조선아악』자료에 기하여
-
김인숙;
한국학중앙연구원;
(한국음악사학보,
v.0,
2023,
pp.105-134)
-
7
-
일제강점기 이왕직 편 『조선음악사』 편찬연구
-
이수정;
한국학중앙연구원 전통한국연구소;
(이화음악논집,
v.28,
2024,
pp.71-105)
-
8
-
일제하 '조선왕실'의 지위와 이왕직의 기능
-
이윤상;
창원대학교;
(한국문화,
v.0,
2007,
pp.315-342)
-
9
-
이왕직아악부의 『조선음악서』 편찬과 그 의미
-
김은자;
서울대학교;
(한국음악사학보,
v.0,
2023,
pp.63-104)
-
10
-
1930년대 조선왕릉 재실 영역의 건축적 변화 - 이왕가 예산 관련 자료를 중심으로 -
-
김가연;
이경아;
서울대학교;
서울대학교;
(대한건축학회논문집,
v.40,
2024,
pp.133-14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