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이선유 명창론
-
최난경;
;
(韓國音樂硏究,
v.30,
2001,
pp.157-190)
-
2
-
A Study on Lee Seon-yu's Chunhyangga Based on Gojesori (An Old-fashioned Pansori Sound) and Gwonbeon (Facility of Female Entertainers)
-
Seo, You-Seok;
;
(우리 文學 硏究 =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,
v.58,
2018,
pp.181-213)
-
3
-
이선유 창 "퇴령후"의 음악적 구조 분석
-
박희순;
전남대학교;
(남도민속연구,
v.0,
2003,
pp.107-127)
-
4
-
이선유 창 "퇴령후"의 음악적 구조 분석
-
박희순;
전남대학교;
(남도민속연구,
v.0,
2003,
pp.107-127)
-
5
-
'창랑시화'의 사승관계와 이선유시의 타당성 검토
-
팽철호;
;
(東亞文化 = The Journal of S.N.U. Institute of Asian Studies,
v.1988,
1988,
pp.101-122)
-
6
-
이선유 판소리의 현대적 조명(1) ―⟨춘향가⟩ 복원 작업을 중심으로―
-
최난경;
이선유 판소리 복원 연주단;
(고전과 해석,
v.17,
2014,
pp.205-234)
-
7
-
판소리 말(사설)의 율문적 성격 고찰-이선유본 [심청가]를 중심으로-
-
최정락;
;
(문학과 언어 = Journal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11,
1990,
pp.331-362)
-
8
-
古制소리와 권번을 통해 살펴본 이선유 ⟨춘향가⟩의 자리
-
서유석;
경상대학교;
(우리문학연구,
v.0,
2018,
pp.181-213)
-
9
-
이선유 판소리의 현대적 조명(1) ―<춘향가> 복원 작업을 중심으로―
-
최난경;
;
(고전과 해석,
v.17,
2014,
pp.205-234)
-
10.
- 宅地開發에 관한 硏究 : 住宅地를 中心으로
- 이선유
-
建國大學校 行政大學院, 국내석사,
49 p., 198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