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"이상(李箱)의 <오감도(烏瞰圖)> 시제고(詩題考)
-
이영지;
;
(국어국문학,
v.100,
1988,
pp.449-459)
-
2
-
이상(李箱)의 시(詩) 「오감도(烏瞰圖)」의 구조(構造)
-
이영자;
;
(국어국문학,
v.93,
1985,
pp.329-365)
-
3
-
이상 시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- 「오감도 시제1호」의 시적 계보를 중심으로
-
정끝별;
;
(한국시학연구 = Korean poetics studies,
v.2009,
2009,
pp.65-92)
-
4
-
이상의 시 「오감도 시제1호」에 대한 수용미학적 소고
-
김효신;
;
(韓民族語文學 = Hanminjok Emunhak,
v.39,
2001,
pp.267-297)
-
5
-
이상 시의 영상이미지에 대한 연구 - <오감도> 시 제1호와 시 제7호를 중심으로 -
-
윤수하;
;
(국어국문학,
v.129,
2001,
pp.465-483)
-
6
-
영상매체에서 기호화되는 이상의 시 오감도(烏瞰圖)의 결핵 상상력 연구
-
표정옥;
숙명여자대학교;
(기호학 연구,
v.60,
2019,
pp.136-163)
-
7.
- 오유숙의 '이상의 '오감도'에 의한 Trio for Soprano, Flute and Viola'
- 오유숙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39장, 2010
-
8
-
이상의 ⟨오감도⟩에 나타난 현대디자인적 사고
-
이고은;
김덕순;
중앙대학교;
배재대학교;
(기초조형학연구,
v.14,
2013,
pp.321-331)
-
9
-
이상 ‘육필 원고’의 진위 여부 고증(考證)-「오감도」를 중심으로
-
김주현;
경북대학교;
(한국현대문학연구,
v.0,
2019,
pp.267-294)
-
10
-
이상 연작시 「오감도」 이어서 읽기-라캉의 주체화 관점에서-
-
배선윤;
경북대학교;
(이상리뷰,
v.0,
2023,
pp.113-15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