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제주도 연대 이름[烟臺名] 연구
-
오창명;
;
(지명학 = Journal of the place name society of Korea,
v.12,
2006,
pp.157-206)
-
2
-
중국인의 성씨(姓氏)와 이름(名字) 연구
-
閔載泓;
;
(中語 中文學,
v.40,
2007,
pp.47-60)
-
3
-
중국인의 성씨(姓氏)와 시대별 이름 짓기(命名)의 특징
-
閔載泓;
;
(中國文化硏究 = The Journal of Chinese culture research,
v.15,
2009,
pp.575-594)
-
4
-
A Study on Kim Su-Yeol's 4‧3 Poems: Naming for The Nameless World
-
Kwon, Yu-Seong;
;
(배달말,
v.63,
2018,
pp.369-395)
-
5
-
선진 제자백가 정명론 연구 - 정치사회적 명실론과 논리적 정합론
-
김지훈;
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ㆍ문화연구소;
(율곡학연구,
v.52,
2023,
pp.219-245)
-
6
-
‘冓, 爯, 再’ 문자 연구
-
이권홍;
제주국제대학교;
(중국학,
v.0,
2016,
pp.115-131)
-
7
-
순자는 왜 이름을 중시하는가?
-
유희성;
;
(범한철학,
v.40,
2006,
pp.183-203)
-
8
-
元曉의 新羅말 이름 塞部에 대하여 - 起信論別記 撰者名을 중심으로
-
金煐泰;
;
(新羅 文化,
v.8,
1991,
pp.35-45)
-
9
-
정명사상의 시대적 변화에 대한 연구 - 순자(荀子)에서 송대(宋代)까지
-
김지훈;
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ㆍ문화연구소;
(율곡학연구,
v.51,
2023,
pp.393-414)
-
10
-
中國 古代 木簡의 署名 방식 연구
-
박준호;
국립청주박물관;
(古文書硏究,
v.41,
2012,
pp.1-2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