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이광려의 서찰에 관한 일고찰
-
심경호;
고려대학교;
(어문논집,
v.0,
2011,
pp.235-291)
-
2
-
이광려의 서찰에 관한 일고찰
-
심경호;
고려대학교;
(어문논집,
v.0,
2011,
pp.235-291)
-
3
-
이광려의 「독노자오칙(讀老子五則)」에 대한 독법(讀法)
-
김윤경;
성균관대학교;
(한국학,
v.32,
2009,
pp.113-134)
-
4.
- 낙동강 하류 보 건설 후의 소유역 내 수리지질학적 특성 비교
- 김시은
-
부산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58 장, 2025
-
5
-
玄同 鄭東愈(1744~1808)와 『晝永編』에 관한 연구
-
조성산;
;
(한국인물사연구,
v.3,
2005,
pp.241-270)
-
6
-
마산 내서전통민속문화예술보존회의 전승 활동과 특징
-
최자운;
세명대학교 교양대학;
(공연문화연구,
v.43,
2021,
pp.121-143)
-
7
-
초간본 『이참봉집』에 나타난 이광려 학술사상과 실학정신(2)
-
천병돈;
대진대학교;
(양명학,
v.0,
2022,
pp.195-220)
-
8.
- 신칠북 상시배수장 운영에 따른 지하수위 영향 평가
- 이재경
-
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, 2021
-
9
-
강화학파 관련 새 자료의 발굴과 강화학파 연구의 과제 : 이광려의 간찰 자료를 중심으로
-
심경호;
고려대학교;
(인천학연구,
v.1,
2010,
pp.45-85)
-
10
-
광려산 숯일소리의 전승 연구 - 박치동ㆍ정채남의 소리를 중심으로 -
-
서정매;
부산대학교;
(국악원논문집,
v.0,
2019,
pp.207-24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