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37,879건 중 1,000건 출력
, 1/100 페이지
-
1
-
外來語의 意味 轉移
-
노명희;
성균관대학교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13,
pp.493-524)
-
2
-
다의어의 판정과 의미 확장의 분류 기준
-
임지룡;
경북대학교;
(한국어 의미학,
v.28,
2009,
pp.193-226)
-
3.
- 국어 형태 단위의 의미와 단어 형성
- 황화상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i, 281p., 2000
-
4.
- 유의미 학습이론을 적용한 중학교 1학년 음악수업모형 구안
- 김인영
-
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x, 99장, 2008
-
5
-
담화 단위와 의미
-
박철우;
안양대학교;
(한국어학,
v.77,
2017,
pp.1-36)
-
6
-
연령대별 삶의 의미와 안녕감의 관계: 10대, 20대, 40대 간 의미추구, 의미발견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
-
김상희;
박성현;
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;
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;
(한국심리학회지: 사회및성격,
v.31,
2017,
pp.61-78)
-
7
-
‘있다’의 문법화에 대한 의미·화용적 연구
-
이수련;
동의대학교;
(國語學,
v.42,
2003,
pp.177-205)
-
8
-
甲骨文과 金文 속 ‘以’의 의미지도
-
류동춘;
서강대학교;
(한중언어문화연구,
v.0,
2016,
pp.3-29)
-
9
-
교사들이 구성하는 아동중심교육의 의미
-
정선아;
동의대학교;
(유아교육연구,
v.24,
2004,
pp.305-329)
-
10
-
21세기 국어의미론 연구의 방향과 과제
-
박영순;
고려대학교;
(언어과학연구,
v.1,
2004,
pp.97-11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