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유중교는 왜 이항로의 심설을 조보(調補)했는가?
-
유지웅;
전북대학교;
(유교사상문화연구,
v.0,
2019,
pp.87-107)
-
2
-
성재 유중교의 가평 옥계구곡 위치추정 연구
-
강기래;
이해주;
이현채;
김희채;
김동필;
하성근;
부산대학교 생명산업융합연구원;
국립수목원;
국립수목원;
국립수목원;
부산대학교 조경학과;
경상남도 산림환경연구원;
(韓國傳統造景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,
v.35,
2017,
pp.32-40)
-
3
-
19세기 말 화서학파의 〈고산구곡가〉 수용과 그 의미
-
이상원;
;
(時調學論叢 = The Korean essays on Sijo literary science,
v.27,
2007,
pp.107-142)
-
4
-
심설논쟁의 수양론적 의미 - 화서학파의 김평묵과 유중교를 중심으로-
-
김근호;
청주교육대학교;
(유교사상문화연구,
v.0,
2019,
pp.63-86)
-
5
-
성재 유중교(省齋 柳重敎)의 음악론(樂論)
-
금장태;
서울대학교;
(종교와 문화,
v.0,
2007,
pp.173-210)
-
6
-
유중교 역학의 圖象과 數理 해석 연구 - 「講說雜稿」·「易說」을 중심으로
-
이난숙;
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;
(율곡학연구,
v.46,
2021,
pp.331-366)
-
7
-
유중교 역학의 圖象과 數理 해석 연구 - 「講說雜稿」·「易說」을 중심으로
-
이난숙;
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;
(율곡학연구,
v.46,
2021,
pp.331-366)
-
8
-
유중교는 왜 이항로의 심설을 조보(調補)했는가?
-
유지웅;
전북대학교;
(유교사상문화연구,
v.0,
2019,
pp.87-107)
-
9.
- 禮樂을 통한 講學활동 사례 연구 : 省齋集을 중심으로
- 신성희
-
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72장, 2010
-
10
-
심설논쟁의 수양론적 의미 - 화서학파의 김평묵과 유중교를 중심으로-
-
김근호;
청주교육대학교;
(유교사상문화연구,
v.0,
2019,
pp.63-8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