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Jae-hun Jeong, History of Xiongnu(匈奴) Nomadic Empire B.C.209 ‒A.D.216, Sakyejul, 2023.
-
Kwon, Yong-Cheol;
;
(歷史 敎育,
v.169,
2024,
pp.323-330)
-
2
-
[서평] 한국 학자가 복원한 고대 유목제국 1000년사 ― 정재훈, 『돌궐 유목제국사 552~745』(사계절, 2016); 『흉노 유목제국사 기원전 209~216』(사계절, 2023); 『위구르 유목제국사 744~840』(사계절, 2024) ―
-
이기천;
경북대학교;
(중앙아시아연구,
v.29,
2024,
pp.123-134)
-
3
-
[서평] 한국 학자가 복원한 고대 유목제국 1000년사 ― 정재훈, 『돌궐 유목제국사 552~745』(사계절, 2016); 『흉노 유목제국사 기원전 209~216』(사계절, 2023); 『위구르 유목제국사 744~840』(사계절, 2024) ―
-
이기천;
경북대학교;
(중앙아시아연구,
v.29,
2024,
pp.123-134)
-
4
-
⟨書評⟩ 정재훈,『흉노 유목제국사 기원전 209~216』, 사계절, 2023
-
권용철;
경기대학교;
(역사교육,
v.0,
2024,
pp.321-328)
-
5
-
⟨書評⟩ 정재훈, 『흉노 유목제국사 기원전 209~216』, 사계절, 2023
-
권용철;
경기대학교;
(역사교육,
v.0,
2024,
pp.323-330)
-
6.
-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 몽골제국사에 투영된 중화적 시각 분석
- 임우정
-
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, 42 p., 2009
-
7
-
중앙유라시아사와 서아시아사의 새로운 연구와 전망(2020~2023) - 디지털화와 세계화를 향하여 -
-
최소영;
동국대학교 문화학술원;
(역사학보,
v.0,
2024,
pp.447-501)
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