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「양씨전」의 인물 형상과 그 의미
-
유귀영;
;
(배달말,
v.0,
2019,
pp.115-135)
-
2.
- <심청전>에 나타난 인물 형상화 연구
- 유귀영
-
경북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, 95 p., 2009
-
3.
- 고전소설의 유망 서사 연구
- 유귀영
-
경북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i, 225 p., 2017
-
4
-
17세기 일본의 사상혁명-이토 진사이[伊藤仁斎]와 古義堂의 사상-
-
宮川康子;
쿄토 산업대학교;
(대동한문학(大東漢文學),
v.61,
2019,
pp.127-180)
-
5
-
판소리계 소설 속 하층여성의 烈에 대한 인식과 그 의미
-
유귀영;
경북대학교;
(판소리연구,
v.0,
2015,
pp.173-202)
-
6
-
⟨게우사⟩에 나타난 '가정'에 대한 인식과 그 의미
-
유귀영;
경북대학교;
(어문론총,
v.0,
2011,
pp.39-68)
-
7
-
고전소설 속 도적의 형상화 양상과 그 의미
-
유귀영;
경북대학교;
(어문론총,
v.0,
2017,
pp.89-112)
-
8
-
영웅소설 속 여성 유망민의 형상화 양상과 그 의미
-
유귀영;
금오공과대학교;
(어문론총,
v.0,
2018,
pp.35-61)
-
9
-
「양씨전」의 인물 형상과 그 의미
-
유귀영;
금오공과대학교;
(배달말,
v.0,
2019,
pp.115-135)
-
10
-
디지털 시대, 고전소설의 변주 양상과 그 의미 - 판소리계 소설 ⟨흥부전⟩을 변주한 웹툰 ⟨제비전⟩을 중심으로 -
-
유귀영;
금오공과대학교;
(한민족어문학(구 영남어문학),
v.0,
2025,
pp.235-265)
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