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일제시기 빵의 전래와 수용에 대한 연구 - 군산의 근대 제과점 이즈모야[出雲屋]를 중심으로
-
오세미나;
;
(지방사와 지방문화 = Journal of local history and culture,
v.15,
2012,
pp.361-396)
-
2
-
진안 인삼재배의 역사성
-
함한희;
윤동환;
오세미나;
무형문화연구원, 전북대학교;
가톨릭관동대학교 영동문화연구소;
전북대학교;
(인삼문화 = Journal of ginseng culture,
v.7,
2025,
pp.191-205)
-
3.
- 군산지역의 제과점을 통해 본 근대의 맛과 공간의 탄생
- 오세미나
-
전북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ⅵ, 100 p., 2012
-
4.
- 한국 단과자빵의 탄생과 확산 : 군산 이성당의 사례를 중심으로
- 오세미나
-
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xiii, 201 p., 2018
-
5
-
일제시기 빵의 전래와 수용에 대한 연구 - 군산의 근대 제과점 이즈모야[出雲屋]를 중심으로
-
오세미나;
;
(지방사와 지방문화 = Journal of local history and culture,
v.15,
2012,
pp.361-396)
-
6
-
해방 이후 제과 기구와 기술의 발달을 통해 본 근대문화의 정착 과정에 관한 연구 – 군산 지역 제과점의 사례 연구 –
-
오세미나;
전북대학교;
(건지인문학,
v.0,
2018,
pp.257-291)
-
7
-
‘코로나’ 위기 속 무형유산 커뮤니티의 실천 양상과 그 의미 -전복된 일상성의 전복-
-
함한희;
오세미나;
사단법인 무형문화연구원;
전북대학교;
(무형유산,
v.0,
2023,
pp.5-28)
-
8
-
폐백음식의 상업화와 변화 양상-전주지역을 중심으로-
-
오세미나;
전북대학교;
(비교민속학,
v.0,
2018,
pp.135-163)
-
9
-
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‘씨름’, 남북한 공동 등재 이후 과제
-
오세미나;
전북대학교;
(무형유산학,
v.6,
2021,
pp.99-122)
-
10
-
해방 이후 제과 기구와 기술의 발달을 통해 본 근대문화의 정착 과정에 관한 연구 – 군산 지역 제과점의 사례 연구 –
-
오세미나;
전북대학교;
(건지인문학,
v.0,
2018,
pp.257-29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