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사회적 차원의 인지 행위로서 유아 학급담화
-
오문자;
;
(열린유아교육연구 =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,
v.16,
2011,
pp.129-156)
-
2
-
‘대화’의 유아교육적 의미 - 사회문화적 관점에서
-
오문자;
;
(열린유아교육연구 =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,
v.14,
2009,
pp.41-63)
-
3
-
‘과학 이야기’ 안에서 유아들의 이론 공동 구성을 지원하는 교사의 전략
-
오문자;
;
(열린유아교육연구 =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,
v.16,
2011,
pp.1-32)
-
4
-
유아 교실에서의 교사 협력 : 2교사제 교사들의 내러티브
-
김희연;
오문자;
;
(열린유아교육연구 =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,
v.14,
2009,
pp.277-296)
-
5
-
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의 프로제따찌오네(progettazione)를 통해서 본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의 의미 탐색
-
오문자;
김희연;
;
(열린유아교육연구 =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,
v.12,
2007,
pp.93-117)
-
6
-
집단 즉흥공연으로서의 가상놀이: 만 4세 남아들의 놀이틀 협상과정 분석
-
오문자;
숙명여자대학교;
(유아교육연구,
v.31,
2011,
pp.255-284)
-
7
-
유아들의 비형식적 수학과 형식적 수학의 만남: 소집단 프로젝트 과정의 수학적 의미 구성 사례 분석
-
오문자;
;
(생태유아교육연구,
v.10,
2011,
pp.119-146)
-
8.
- 目標設定訓練에 따른 身體的 自我效能感 및 舞臺不安과 公演成就度의 關係
- 오문자
-
漢陽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v, 110, xx p., 1999
-
9
-
어린이들이 시쓰기에 부여하는 의미: 의사소통의 관점에서
-
오문자;
이유나;
KCCT;
아모레 퍼시픽 서울 어린이집;
(유아교육연구,
v.29,
2009,
pp.279-303)
-
10
-
기록작업을 매개로 한 부모참여에 관한 실행연구: 학습공동체를 지향하며
-
김희연;
정선아;
오문자;
경인교육대학교;
숙명여자대학교;
Kirean Center for Children and Teachers;
(유아교육연구,
v.26,
2005,
pp.221-25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