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한국 현대 영미 희곡 학회 회칙 외
-
편집부;
;
(현대영미드라마 = Journal of modern British and American drama,
v.1996,
1996,
pp.146-153)
-
2
-
한국 현대 영미 희곡 학회 회칙 외
-
편집부;
;
(현대영미드라마 = Journal of modern British and American drama,
v.1996,
1996,
pp.206-209, 221-222)
-
3
-
한국연극계의 영미희곡 수용에 관한 연구 - 80-97년 서울 공연을 중심으로
-
김진나;
이혜경;
;
(현대영미드라마 = Journal of modern British and American drama,
v.1999,
1999,
pp.41-85)
-
4.
- Re-imagining Northern Ireland : Space and Identity in the Post-Troubles Dramas of Stewart Parker, Owen McCafferty, and David Ireland
- 장혜선
-
한양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v, 176 p., 2021
-
5.
- Bernard Shaw의 작품에 나타난 애정의 조건
- 박정호
-
전주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37 p., 1987
-
6.
- Shakespeare극의 마키아벨리즘 연구 : Richard Ⅲ와 edmund를 중심으로
- 염윤정
-
한양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, 56 p., 2000
-
7.
- Tennessee Williams작품에 나타난 여주인공분석 : A Streetcar Named Desire와 Car on Hot Tin Roof를 중심으로
- 김수정
-
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67장, 1997
-
8.
- 릴리언 헬먼의 『아이들의 시간』과 아서 밀러의 『시련』 : 청소년 집단 문제에 대한 교육적 접근
- 이영경
-
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52 p., 2014
-
9.
- Othello와 Iago의 성격과 동기에 대한 연구
- 지명식
-
전주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65 p., 1992
-
10.
- Shepard의 가족극에 나타난 현대 미국의 초상
- 박춘화
-
계명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,71 p., 199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