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,488건 중 1,000건 출력
, 1/100 페이지
-
1
-
한국 대학에서 영미소설 가르치기
-
최재석;
충남대학교;
(영어어문교육 = English language & literature teaching,
v.11,
2005,
pp.225-243)
-
2
-
한국근대영미소설학회
-
TheKoreanSocietyofBritishandAmericanFiction;
;
(근대영미소설,
v.15,
2008,
pp.133-156)
-
3
-
『근대영미소설』 연구 경향(1994~2022)과 소설론
-
박종성;
충남대학교;
(근대영미소설,
v.30,
2023,
pp.53-84)
-
4
-
영미소설 연구의 생태비평적 성과와 전망
-
이동환;
;
(문학과 환경: Literature and environment,
v.11,
2012,
pp.113-131)
-
5.
- 영미소설 번역 기술 연구
- 김행선
-
선문대학교 통번역대학원, 국내석사,
iv, 56 p., 2009
-
6.
- 아동문학으로서의 영미소설 문체론 연구
- 문태호
-
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vi, 89p., 1998
-
7.
- 英美小說을 통한 英語敎育
- 허진영
-
釜山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, 국내석사,
v, 68p., 2003
-
8.
- 영미 소설을 이용한 영어교수학습 방안
- 서금자
-
안동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70p., 2001
-
9
-
영미 아동 모험 소설에 관한 코퍼스 분석 연구: 『보물섬』을 중심으로
-
최은샘;
정채관;
인천대학교 코퍼스연구소;
인천대학교 영어영문학과;
(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=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,
v.21,
2021,
pp.333-342)
-
10
-
한국근대영미소설학회 출판사업 회고와 제언:챗GPT 시대 인문학의 역할
-
고영란;
수원대학교;
(근대영미소설,
v.30,
2023,
pp.5-3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