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⟨연평해전⟩의 흥행 성공과 신문보도
-
김상우;
JTBC;
(씨네포럼,
v.0,
2016,
pp.389-416)
-
2.
- 한국 신문 영화보도 담론의 정파성에 관한 연구 : 조선일보·한겨레신문의 <택시운전사> <1987> <국제시장> <연평해전> 보도를 중심으로
- 이대현
-
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vi, 181 p., 2020
-
3
-
국가 차원의 보훈은 국가 수호 원동력 : 서해교전, '제2연평해전'으로 명칭 변경은 잘한 일
-
유영옥;
;
(국방저널 = National Defense Journal,
v.413,
2008,
pp.50-52)
-
4
-
극영화의 역사적 사실 사운드 재현 방식에 대한 연구 - ⟨국제시장⟩과 ⟨연평해전⟩을 중심으로
-
목혜정;
동국대학교;
(씨네포럼,
v.0,
2015,
pp.501-525)
-
5
-
전장의 불확실성 해소방안 고찰 : 제1연평해전과 연평도 포격전 사례를 중심으로
-
최정준;
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;
(한국과 국제사회,
v.6,
2022,
pp.255-279)
-
6
-
TV 뉴스 컴퓨터 그래픽의 현실 구성에 관한 연구 - 제2연평해전(2002년)과 천안함 침몰사건(2010년) 비교를 중심으로
-
이창훈;
안호림;
;
(방송과커뮤니케이션= Broadcasting & Communication,
v.12,
2011,
pp.189-227)
-
7
-
제2연평해전은 우리에게 'NLL은 목숨 걸고 지킬 선'임을 알렸다 : 김진욱 21세기군사연구소 소장 <인터뷰></인터뷰>
-
김진욱;
21세기군사연구소 부;
;
(軍史世界 = Korea defense review,
v.154,
2008,
pp.11-15)
-
8
-
서해북방한계선의 주요 쟁점과 대응 방안
-
정천구;
;
(통일전략,
v.8,
2008,
pp.9-45)
-
9.
- 危機管理에 關한 硏究 : 延坪海戰 事例를 中心으로
- 이규학
-
韓南大學校 行政政策大學院, 국내석사,
72p., 2004
-
10
-
천안함 사건 이후 나타난 남남갈등에 대한 연구
-
최용섭;
;
(Oughtopia : The Journal of Social Paradigm Studies,
v.26,
2011,
pp.113-13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