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일본식근대농법과 식민지조선의 농속(農俗) 사이 - 정조식(正條植)장려와 막모관행의 충돌을 중심으로
-
안승택;
;
(역사와 현실,
v.2006,
2006,
pp.245-277)
-
2
-
하지의 외상성 혈관손상
-
문명상;
김인;
안승택;
;
(大韓整形外科學會雜誌 = Journal of the Korean Orthopedic Association,
v.8,
1973,
pp.169-174)
-
3
-
경골골절의 임상적 고찰
-
안승택;
김인;
문명상;
;
(大韓整形外科學會雜誌 = Journal of the Korean Orthopedic Association,
v.7,
1972,
pp.259-271)
-
4
-
폭력의 거처 - 한 현대농촌일기에 나타난 거친농민들과 촌락공동체 그리고 국가
-
안승택;
;
(지역사회연구,
v.21,
2013,
pp.45-71)
-
5
-
해방 전후 한국농촌의 공동노동과 호락질: 공동노동에서 이탈하는 단독노동 배후의 공동체 이데올로기와 경제논리
-
안승택;
전북대학교;
(비교문화연구,
v.15,
2009,
pp.35-77)
-
6
-
장마와 매우(梅雨) 사이: 기후는 식민지 조선의 농업을 어떻게 규정하였는가
-
안승택;
;
(한국과학사학회지,
v.32,
2010,
pp.223-258)
-
7
-
한말ㆍ일제초기 미신론 연구 -‘미혹(迷惑)된 믿음’이라는 문화적 낙인의 정치학
-
안승택;
이시준;
서울대학교;
숭실대학교;
(한국민족문화,
v.0,
2014,
pp.295-337)
-
8
-
폭력의 거처: 한 현대농촌일기에 나타난 거친 농민들과 촌락공동체 그리고 국가
-
안승택;
전북대학교;
(지역사회연구,
v.21,
2013,
pp.45-71)
-
9
-
근현대 향촌사회에서 상여를 메던 ‘아랫것들’과 공동체의 ‘살갗’: 경기남부의 사례
-
안승택;
경북대학교;
(한국문화인류학,
v.52,
2019,
pp.53-97)
-
10
-
농민의 풍우(風雨) 인식에 나타나는 지식의 혼종성: 『평택 대곡일기(1959~1979)』를 중심으로
-
안승택;
서울대학교;
(비교문화연구,
v.21,
2015,
pp.249-29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