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3,486건 중 1,000건 출력
, 1/100 페이지
-
1
-
청소년 보훈·안보교육 활성화방안
-
안성호;
충북대학교;
(한국보훈논총,
v.10,
2011,
pp.117-141)
-
2
-
환경안보 개념의 대두와 국제법의 대응
-
정서용;
명지대학교;
(환경법연구,
v.27,
2005,
pp.271-290)
-
3
-
동아시아 해양안보환경 변화와 한국의 해로안보: 동맹 딜레마의 시각에서
-
최양선;
해군본부;
(전략연구,
v.24,
2017,
pp.7-45)
-
4
-
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와 김정은 정권의 대응전략(-유엔문서와 로동신문 분석을 중심으로)
-
임상순;
평택대학교;
(북한연구학회보,
v.22,
2018,
pp.1-27)
-
5.
- 9.11 테러 이후 미국의 대외정책과 미-유엔관계 변화
- 이유진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, 85p., 2004
-
6.
- 농식품부문 민관협력의 식량안보 기여에 관한 연구 : 동남아시아 사례를 중심으로
- 윤지완
-
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58 p., 2014
-
7
-
유럽 내 시리아 난민과 사회안보
-
김성진;
덕성여자대학교;
(정치·정보연구,
v.21,
2018,
pp.99-128)
-
8
-
우리나라의 식량안보 기반구축을 위한 정책 방향
-
허승욱;
김호;
장원석;
단국대학교;
단국대학교;
단국대학교;
(농업경영.정책연구,
v.29,
2002,
pp.102-117)
-
9
-
다차원 안보위협과 융합 안보
-
윤민우;
김은영;
한세대학교 경찰행정학과;
관동대학교 경찰행정학부 범죄수사학과;
(한국경호경비학회지 = Korean security science review,
v.31,
2012,
pp.157-185)
-
10
-
북한의 대량살상무기와 한국의 안보
-
김강녕;
;
(통일전략,
v.2,
2002,
pp.145-16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