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히브리서 4:14-5:10 본문 연구
- 임경호
-
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, 국내석사,
v, 45p., 2007
-
2.
- 대 속죄일과 아사셀염소 : 레위기 16장을 중심으로
- 이충호
-
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07 p., 2009
-
3
-
동양평화론으로 본 안중근의 「장부가」
-
최원식;
인하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09,
pp.266-282)
-
4
-
인식론을 위한 네 번째 선택지: 사유와 대상의 일치 문제에 관한 베르그손의 대답
-
주재형;
연세대학교;
(생명연구,
v.75,
2025,
pp.21-41)
-
5.
- 孔子의 책임적 자아론의 형성과정 : '左傳'과 '論語'를 중심으로
- 천영미
-
성신여자대학교, 국내박사,
ⅵ, 197 p., 2008
-
6
-
1882년 전후 東아시아論의 形成과 朝鮮 지식인의 反應
-
하정원;
홍익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0,
2012,
pp.165-198)
-
7.
- 공연 후 배우가 겪는 심리적 후유증(Post-Dramatic Stress)에 대한 고찰 : 배우 심층 인터뷰 중심으로
- 손지원
-
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108장, 2018
-
8.
- 지혜시와 제왕시의 짝으로 본 시편의 구성 연구
- 김진현
-
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x, 139 p., 2020
-
9.
- 헤겔 『정신현상학』의 <이성>장 연구
- 이종철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i, 177 p., 2005
-
10.
- 한국 전통문화 속에서의 예배연구
- 김태근
-
한일장신대학교 한일신학대학원, 국내석사,
58p., 200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