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모성신화와 아이를 낳지 않을 여성의 권리, 『난 죽을 때까지 여자로 산다』
-
신혜양;
;
(아시아여성연구 = The journal of Asian women,
v.49,
2010,
pp.251-256)
-
2
-
유비쿼터스 학습환경에서 독일문화 교육방안 - PBL 및 UBL 학습법과 창의적 학습결과물 제작
-
신혜양;
;
(헤세연구 = Hesse-Forschung,
v.28,
2012,
pp.291-311)
-
3
-
오이디푸스적 젠더 이해와 신화적 글쓰기 - 헤르만 브로흐와 그의 소설문학을 중심으로
-
신혜양;
;
(여성학연구,
v.21,
2011,
pp.205-232)
-
4
-
율리아 쇼흐의 「불도마뱀의 몸」에 나타난 경계들과 경계 넘기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20,
pp.111-135)
-
5
-
변화된 매체환경에서의 독문학 수업방안 -대학의 독어독문학 전공수업을 중심으로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11,
pp.211-236)
-
6
-
귀환으로서의 여행: 바바라 호니히만의 여행기 『 천상의 빛. 뉴욕으로의 귀환』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21,
pp.173-195)
-
7
-
독일 식민지 역사에 대한 포스트모던 내러티브 - 크리스티안 크라흐트의 소설 <제국>의 서사기법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17,
pp.141-165)
-
8
-
환상의 치유력: 미하엘 엔데의 끝없는 이야기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12,
pp.107-126)
-
9
-
망각, 고향상실 그리고 구원으로서의 글쓰기 -W.G. 제발트의 아우스털리츠의 경우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07,
pp.377-394)
-
10
-
환상문학으로 본 카프카의 <변신>
-
신혜양;
숙명여자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04,
pp.50-6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