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『朝鮮後期 華西 李恒老의 衛正斥邪思想』 - 박성순 저, 2003, 경인문화사
-
신항수;
;
(한국인물사연구,
v.2,
2004,
pp.401-406)
-
2
-
홍계희의 편찬 및 간행 활동과 도통 의식
-
Sin, Hang-su;
;
(역사와 담론 = History and discourse : journal of historical review,
v.66,
2013,
pp.143-166)
-
3
-
李瀷의 筆法論과 역사인식
-
신항수;
파리제7대학;
(韓國史學史學報,
v.0,
2001,
pp.39-65)
-
4
-
역사학의 새로운 과제와 전자문화지도
-
신항수;
;
(민족문화연구,
v.38,
2003,
pp.11-22)
-
5.
- 李瀷(1681-1763)의 經·史解釋과 現實認識
- 신항수
-
高麗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ii, 195p., 2002
-
6.
- La conception de l'histoire selon les classiques confuceens et les idees reformistes du lettre coreen YI Ik(1681-1763)
- 신항수
-
Univ. de Paris VII, 국외박사,
46p., 2002
-
7
-
박정희 정권기 전통 사상에 대한 인식 변화와 국민윤리 교육
-
신항수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(史叢(사총),
v.0,
2021,
pp.81-118)
-
8
-
성호 문집의 판본에 관한 연구 - 잡저를 중심으로 -
-
신항수;
;
(태동고전연구,
v.31,
2013,
pp.33-55)
-
9
-
The Kŭn’gi Namin Faction’s Acceptance of the T’oegye School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Sŏngho School
-
신항수;
;
(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12,
2008,
pp.113-132)
-
10
-
재외 한국학교 초등 과정의 교육과정 편성·운영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
-
이미숙;
이수정;
신항수;
장근주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(교육과정평가연구,
v.20,
2017,
pp.31-5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