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니콜로 파가니니가 영향을 끼친 19세기 이후 작곡가들의 편곡기법 연구 : 리스트, 라흐마니노프의 작품을 중심으로
- 신주옥
-
동아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49 p., 2014
-
2
-
계배 뇌 발생에 있어서 신경세포의 Acid Phosphatase 변화에 관한 효소화학적 연구
-
고기석;
신주옥;
유창규;
최임순;
연세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;
연세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;
연세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;
연세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;
(한국전자현미경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electron microscopy,
v.18,
1988,
pp.119-131)
-
3
-
Naegleria fowleri 감염 마우스에 있어서 interleukin-2 생성 및 T 림프구 아형변동
-
유철주;
신주옥;
임경일;
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열대의학연구소;
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열대의학연구소;
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열대의학연구소;
(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,
v.31,
1993,
pp.249-258)
-
4
-
Naegleria fowleri 자연살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
-
이규래;
신주옥;
임경일;
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열대의학연구소;
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열대의학연구소;
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열대의학연구소;
(기생충학잡지 =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,
v.29,
1991,
pp.267-278)
-
5
-
Acanthamoeba culbertsoni 감염에 있어 자연살세포의 활성
-
현동근;
신주옥;
임경일;
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열대의학연구소;
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열대의학연구소;
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열대의학연구소;
(기생충학잡지 =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,
v.30,
1992,
pp.101-112)
-
6
-
자유생활아메바의 병원성에 따른 자연살세포의 활성도
-
김기혁;
신주옥;
임경일;
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열대의학연구소;
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열대의학연구소;
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열대의학연구소;
(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,
v.31,
1993,
pp.239-248)
-
7
-
지렁이 labial 유전자의 동정 및 머리재생 시 발현 양상에 관한 연구
-
조성진;
이명식;
탁은식;
허소영;
이종애;
박범준;
조현주;
신주옥;
박순철;
중앙대학교 생명과학과;
중앙대학교 생명과학과;
중앙대학교 생명과학과;
중앙대학교 생명과학과;
중앙대학교 생명과학과;
중앙대학교 생명과학과;
중앙대학교 생명과학과;
연세대학교 생명과학과;
중앙대학교 생명과학과;
(韓國土壤動物學會誌 = The Korean journal of soil zoology,
v.8,
2003,
pp.1-6)
-
8
-
과산화지질을 급여한 흰쥐에서 갈근 추출물이 혈장 및 간장의 지질구성, 간장기능 및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
-
이은;
신주옥;
상지대학교 동물생명자원학부;
연세대학교 문리대학 생명과학과;
(韓國資源植物學會誌 =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,
v.20,
2007,
pp.475-480)
-
9
-
설계사례를 이용한 전면 벽체/보강재의 연결강도 평가방법에 관한 비교 연구
-
한중근;
홍기권;
신주옥;
조삼덕;
이광우;
중앙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;
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토목공학과;
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토목공학과;
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실;
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실;
(한국토목섬유학회 논문집 =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,
v.8,
2009,
pp.21-29)
-
10
-
수태중인 생쥐에 있어서 림프구아형 및 자연살해세포 활성도의 변화
-
신주옥;
고기석;
최임순;
연세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;
건국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;
연세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;
(The Journal of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s = 대한의생명과학회지,
v.2,
1996,
pp.211-22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