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18건 중 118건 출력
, 1/12 페이지
-
1
-
조선시대 사상사의 빈 공간 채우기, 신병주 저, 《남명학파와 화담학파 연구》(일지사, 2000)
-
高英津;
;
(歷史 學報,
v.171,
2001,
pp.335-345)
-
2
-
『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』 - 김문식ㆍ신병주, 서울 : 돌베개, 2005
-
이세희;
;
(국악교육연구 = Journal of Korean music education research,
v.5,
2011,
pp.199-202)
-
3
-
[공동연구:17세기 전반 조선사상계의 동향과 그 성격]17세기 전반 북인관료의 사상 - 김신국, 남이공, 김세렴을 중심으로 -
-
신병주;
;
(역사와 현실,
v.8,
1992,
pp.129-150)
-
4
-
‘오대산본’ 『조선왕조실록』의 간행과 보관
-
신병주;
;
(역사와 현실,
v.2006,
2006,
pp.175-211)
-
5
-
1762년 世孫 正祖의 혼례식과 『(正祖孝懿后)嘉禮都監儀軌』
-
신병주;
;
(奎章閣,
v.30,
2007,
pp.153-181)
-
6
-
권력의 속성을 통찰하라는 요청 - 신병주, 『조광조 평전: 사화의 시대, 성리학적 이상을 꿈꾼 개혁가의 비상과 추락』, 한겨레역사인물평전9, 한겨레출판, 2021
-
Kim, Nam i;
;
(梨花語文論集,
v.53,
2021,
pp.317-325)
-
7
-
17세기 중.후반 근기남인 학자의 학풍
-
신병주;
;
(韓國文化,
v.19,
1997,
pp.157-192)
-
8
-
[논문] 남명학파와 화담학파의 학풍 계승에 관한 연구
-
신병주;
;
(역사와 현실,
v.53,
2004,
pp.161-185)
-
9
-
공동연구 : 17세기 후반 조선사상계의 분화 17세기 후반 소론학자의 사상 -윤증·최석정을 중심으로-
-
신병주;
;
(역사와 현실,
v.13,
1994,
pp.115-137)
-
10
-
관료학자 李山海의 학문과 현실대응
-
신병주;
;
(韓國文化,
v.49,
2010,
pp.175-20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