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환경 빠진 ‘문학과 환경’ 논의 - 중국 ‘문학과 환경’ 국제학술대회 참가기
-
신두호;
;
(문학과 환경: Literature and environment,
v.7,
2008,
pp.239-243)
-
2
-
매실(Prumus mume Sieb. et. Zucc)추출물을 이용한 제빵 적성
-
이연화;
신두호;
우송공업대학 식품과학계열;
우송공업대학 식품과학계열;
(한국식품영양학회지 =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,
v.14,
2001,
pp.305-310)
-
3
-
‘두 문화’의 간극 좁히기 : 환경위기와 생태담론 - 『샌드 카운티 연감』 과 『침묵의 봄』을 중심으로
-
신두호;
;
(새한영어영문학 = The New Korean Journal of English Language & Literature,
v.43,
2001,
pp.53-76)
-
4
-
아시아적 생태비평의 과제와 영역작업
-
신두호;
;
(문학과 환경: Literature and environment,
v.9,
2010,
pp.239-243)
-
5
-
생태학적 사유 : (인)문학과 자연과학의 대화
-
신두호;
;
(문학과 환경: Literature and environment,
v.8,
2009,
pp.7-28)
-
6
-
환경위기 담론으로서의 종말론적 수사학 재고
-
Shin, Doo-ho;
;
(문학과 환경: Literature and environment,
v.12,
2013,
pp.83-103)
-
7
-
어슐라 르 귄의 생태학적 상상력과 「언제나 집으로 돌아오기」
-
신두호;
;
(문학과 환경: Literature and environment,
v.2,
2003,
pp.118-139)
-
8
-
자연문학의 에지효과와 생태비평적 방법론
-
신두호;
;
(문학과 환경: Literature and environment,
v.9,
2010,
pp.145-171)
-
9
-
외국문학분야 문학과 환경 이론 성찰 및 연구방향 제안
-
신두호;
;
(문학과 환경: Literature and environment,
v.11,
2012,
pp.37-57)
-
10
-
“이용하되 낭비는 말라” - 환경생태사상 개척자로서의 쿠퍼의 『개척자들』
-
신두호;
;
(문학과 환경: Literature and environment,
v.7,
2008,
pp.65-9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