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박재우, 『고려 국정운영의 체계와 왕권』 (신구문화사, 2005.5)
-
李鎭漢;
;
(歷史 學報,
v.175,
2005,
pp.351-362)
-
2
-
박재삼 시 자세히 읽기-『춘향이 마음』(신구문화사, 1962)을 중심으로
-
김혜련;
;
(韓國文學硏究= Studies in Korean litererature,
v.21,
1999,
pp.299-320)
-
3
-
方東仁 著, 《韓國地圖의 歷史》(신구문화사, 서울, 2001, 364쪽)
-
李相泰;
;
(韓國史硏究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2001,
2001,
pp.209-215)
-
4
-
Choe, Seong Hwan, Tang-Pyŏng Politics and the Righteousness Between King and Officials During King Yŏngjo and Chŏngjo Period, 2020
-
Kim, Yong-heum;
;
(歷史 敎育,
v.156,
2020,
pp.345-359)
-
5
-
1960년대 일본번역문학의 수용과 전집의 발간-신구문화사 <일본전후문제작품집>을 중심으로
-
이종호;
;
(대중서사연구,
v.21,
2015,
pp.7-38)
-
6
-
고려의 국정운영과 국왕권에 대한 새로운 문제제기 ― 고려 국정운영의 체계와 왕권 (박재우, 신구문화사, 2005) ―
-
이정훈;
;
(역사와 현실,
v.2006,
2006,
pp.313-324)
-
7
-
박재삼 시 자세히 읽기-『춘향이 마음』(신구문화사, 1962)을 중심으로
-
김혜련;
동국대;
(한국문학연구,
v.0,
1999,
pp.299-320)
-
8
-
박재삼 시 자세히 읽기-『춘향이 마음』(신구문화사, 1962)을 중심으로
-
김혜련;
동국대;
(한국문학연구,
v.0,
1999,
pp.299-320)
-
9
-
⟨書評⟩ 최성환, 『영·정조대 탕평정치와 군신의리』, 신구문화사, 2020.
-
김용흠;
연세대학교;
(역사교육,
v.0,
2020,
pp.345-359)
-
10
-
조선후기 사상사와 실학에 대한 새로운 논의 –유봉학, 『실학과 진경산수』(신구문화사, 2013)–
-
조성을;
아주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13,
pp.405-43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