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73건 중 373건 출력
, 1/38 페이지
-
1
-
이백 <촉도난>의 표현과 해석
-
서성;
열린사이버대학교;
(중국어문논총,
v.0,
2013,
pp.129-152)
-
2
-
王士禛 詩에 나타난 神韻 탐색
-
송영주;
강원대학교;
(중국어문학논집,
v.0,
2009,
pp.305-325)
-
3
-
현대무용에서의 예술적 표현과 사회성의 관계 연구의 새⟩를 중심으로
-
김복희;
한양대학교;
(대한무용학회 논문집,
v.49,
2006,
pp.71-92)
-
4
-
Neuer Wein in alten Schläuchen - das Spielen mit den Genregrenzen in der zeitgenössischen deutschsprachigen Lyrik
-
Frieder Stappenbeck;
한국외국어대학교용인캠퍼스;
(독일언어문학,
v.0,
2012,
pp.87-106)
-
5
-
南朝 隱逸詩에 나타난 문인 심리
-
배다니엘;
남서울대학교;
(중국학연구,
v.0,
2009,
pp.77-98)
-
6
-
三木露風와 주요한
-
양동국;
상명대학교;
(日本學硏究,
v.22,
2007,
pp.319-339)
-
7
-
윤동주의 현실인식과 시적 응전 연구
-
곽효환;
대산문화재단/고려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,
v.0,
2017,
pp.5-35)
-
8
-
삶의 자존과 희망, 시로 지키다 -牛漢의 초기 시를 중심으로
-
이희현;
성균관대학교;
(중국문학연구,
v.0,
2010,
pp.111-132)
-
9
-
둘스 그륀바인의 『경계선을 지키는 어린 개로서 예술가의 초상』
-
김근용;
조선대학교;
(독일언어문학,
v.0,
2005,
pp.207-222)
-
10
-
漢代 樂府民歌의 修辭技法 : 比喩와 起興을 중심으로
-
신주석;
충주대학교;
(중국학논총,
v.0,
2001,
pp.23-4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