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시네필의 문화적 구성 : 서울 아트시네마를 중심으로
- 주재형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25, 2024
-
2
-
초기 비프(BIFF)의 성공 요인 고찰 : ‘시네필’, ‘부산’, ‘지정학’을 중심으로
-
이호걸;
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;
(아시아영화연구,
v.15,
2022,
pp.267-296)
-
3
-
비디오필리아, 시네필리아, 뉴 시네필리아-1990년대와 21세기 한국 시네필의 어떤 경향
-
이선주;
부산대학교;
(구보학보,
v.0,
2022,
pp.449-491)
-
4
-
몰입형 디지털 미디어아트 전시에서의 시네필적 경험 연구
-
정가을;
이정교;
홍익대학교;
홍익대학교;
(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,
v.19,
2024,
pp.375-388)
-
5
-
1950년대 『카이에 뒤 시네마』의 시네필-평론가 연구: 영화문화와 영화정책의 상관관계에 관하여
-
노철환;
인하대학교;
(프랑스어권 문화예술연구,
v.69,
2019,
pp.69-91)
-
6
-
초기 비프(BIFF)의 성공 요인 고찰 : ‘시네필’, ‘부산’, ‘지정학’을 중심으로
-
이호걸;
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;
(아시아영화연구,
v.15,
2022,
pp.267-296)
-
7
-
‘늙어가는’ 시네필 세대와 지속가능한 영화 리터러시 확장을 위한 논의
-
박은지;
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;
(한국예술연구,
v.0,
2023,
pp.49-69)
-
8
-
‘늙어가는’ 시네필 세대와 지속가능한 영화 리터러시 확장을 위한 논의
-
박은지;
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;
(한국예술연구,
v.0,
2023,
pp.49-69)
-
9
-
영화적 경험양식으로서 한국 시네필에 대한 연구 - 50년대에서 70년대까지를 중심으로
-
문재철;
;
(영화연구= Film studies,
v.2011,
2011,
pp.113-138)
-
10
-
비디오필리아, 시네필리아, 뉴 시네필리아-1990년대와 21세기 한국 시네필의 어떤 경향
-
이선주;
부산대학교;
(구보학보,
v.0,
2022,
pp.449-49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