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한국영화산업의 메이저 형성발전연구 : 충무로토착자본 ‘시네마서비스’를 중심으로
- 범소청
-
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, 국내석사,
ii, 124 p., 2008
-
2
-
아티스트 시네마에 관한 연구 -엘리자-리사 아틸라의 <상담 서비스>를 중심으로-
-
유승연;
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화이론;
(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,
v.2018,
2018,
pp.199-200)
-
3
-
포스트 코로나 시대 독점적 1차 시장으로서 영화관의 존속 : 구독제 서비스와 버추얼 시네마를 중심으로
-
노철환;
인하대학교;
(아시아영화연구,
v.14,
2021,
pp.263-291)
-
4
-
영화 예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사용성 평가 - CGV, 메가박스, 롯데 시네마를 중심으로 -
-
이진영;
석중휘;
대림대학교;
숭의여자대학교;
(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,
v.21,
2015,
pp.469-476)
-
5
-
포스트 코로나 시대 독점적 1차 시장으로서 영화관의 존속 : 구독제 서비스와 버추얼 시네마를 중심으로
-
노철환;
인하대학교;
(아시아영화연구,
v.14,
2021,
pp.263-291)
-
6
-
한국 코미디영화의 내러티브 전략 분석: 2000년대 전반기 시네마서비스가 제작한 코미디영화 흥행작을 중심으로
-
서곡숙;
경북테크노파크;
(영상예술연구,
v.0,
2007,
pp.241-265)
-
7.
- 인터랙티브 시네마의 사용자 경험에 대한 연구
- 종민
-
청주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186 p., 2022
-
8
-
스마트 영화관을 위한 디지털시네마 기술동향
-
정효택;
윤기송;
;
(韓國情報技術學會誌 =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review,
v.10,
2012,
pp.121-131)
-
9
-
초연결 시대 영화 관람문화와 커뮤니티 시네마의 의의: 팬데믹 이후 한국의 예술독립영화 전용관과 일본의 미니시어터를 중심으로
-
채경훈;
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;
(아시아영화연구,
v.16,
2023,
pp.71-113)
-
10
-
국제 표준 제정으로 디지털 시네마 활성화
-
백준기;
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;
(디지털콘텐츠 = Digital contents,
v.2006,
2006,
pp.47-5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