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역주 소은시고
- 정옥경
-
전남대학교, 국내석사,
140, 2015
-
2
-
소은 박홍규의 ‘아페이론’ 이해
-
이정우;
;
(철학사상,
v.0,
2011,
pp.31-58)
-
3
-
소은 박홍규의 ‘아페이론’ 이해
-
이정우;
서울과학종합대학원;
(철학사상,
v.0,
2011,
pp.31-58)
-
4
-
앙리 베르그송의 ‘생명’ 개념에 대한 소은 박홍규의 분석
-
이정우;
경희사이버대학교;
(철학사상,
v.0,
2014,
pp.33-55)
-
5
-
앙리 베르그송의 ‘생명’ 개념에 대한 소은 박홍규의 분석
-
이정우;
;
(철학사상,
v.0,
2014,
pp.33-55)
-
6
-
제주 우도의 검은 모래밭에서 미야케지마까지 디아스포라 장소 담론 - 구소은의 검은 모래 를 중심으로
-
차노휘;
전남대학교;
(문화와융합,
v.43,
2021,
pp.59-80)
-
7
-
‘자기운동자’에서 ‘자기차생자’로: 플라톤과 베르그송 -소은 박홍규의 해석을 중심으로-
-
이정우;
서울과학종합대학원;
(시대와 철학,
v.21,
2010,
pp.285-308)
-
8.
- 장기보험의 손해율에 관한 시계열 분석
- 소은
-
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37 p., 2020
-
9.
- 만 4세 바다반 유아 리더의 특성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
- 남정선
-
성신여자대학교, 국내석사,
iii, 86 p., 2009
-
10.
- 장편 시나리오 <도로시>의 창작 실제
- 윤웅대
-
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vi, 126 장, 202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