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『가례도감의궤(嘉禮都監儀軌)』를 통해 본 조선후기 궐내 소목장의 제작활동 연구
- 진유리
-
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22, 2019
-
2
-
전기역사를 찾아서_55회 - 촛대[燭臺] - 소목장 조각칼 제작 목촛대
-
민병근;
전기박물관;
(전기저널 = Journal of electrical world,
v.418,
2011,
pp.8-9)
-
3
-
서부경남의 소목장 연구 I - 대한민국 명장 김병수의 교육과정 -
-
김민경;
변희섭;
김철환;
문선옥;
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;
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;
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;
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;
(한국가구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,
v.26,
2015,
pp.409-420)
-
4
-
통영의 김금철 소목장 연구 I - 경남 통영 공예전수관 무형문화재 전수조교 김금철의 통영상감 기술을 중심으로 -
-
김민경;
문선옥;
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;
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;
(한국가구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,
v.27,
2016,
pp.69-79)
-
5.
- 통영지역 목가구 제작기술의 전승과 변화
- 성윤석
-
안동대학교, 국내석사,
, 2008
-
6
-
서부경남의 소목장연구 II - 대한민국 김병수 명장의 교육과정의 제작기법을 응용한 현대화/회의실용 대형 원형 보상화문 탁자 개발 -
-
문선옥;
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;
(한국가구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,
v.27,
2016,
pp.325-334)
-
7
-
한국 목공(木工) 관련 어휘 연구 — 목공 개념ㆍ구성, 도구 관련 어휘를 중심으로
-
홍기옥;
위덕대학교;
(인문논총,
v.77,
2020,
pp.173-215)
-
8.
- 조선한식가구의 구조와 형태에 관한 연구 - 전주장 복원을 중심으로 -
- 소병진
-
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133pp., 2016
-
9.
- 조선후기 나전칠기의 기술문화적 특질
- 강연경
-
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15, 2019
-
10
-
조선후기 건축공사에 있어서의 공장도구에 관한 연구 - 위궤서에 기록된 도구명칭의 분석을 중심으로 ( A Study on the builder`s tools in the building constructions of the second half of the Chosun Dynasty )
-
김동욱;
;
(大韓建築學會論文集 =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,
v.6,
1990,
pp.71-7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