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역사인물을 활용한 창작동화 기법 연구
- 김경희
-
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28, 2013
-
2
-
‘학대 아동(An Abused Boy)’과 ‘폭도’, 홍길동의 두 가지 형상과 ⟨홍길동전⟩ 번역의 계보
-
이상현;
부산대학교;
(철학∙사상∙문화,
v.0,
2019,
pp.161-187)
-
3.
- 고전문학 학습을 위한 미디어 활용 방안 : 홍길동전을 중심으로
- 구화선
-
단국대학교, 국내석사,
ii, 63장, 2008
-
4.
- <홍길동전>을 활용한 다문화 가족 청소년의 한국문화교육 연구
- 김나경
-
제주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66 p., 2024
-
5
-
장성군 홍길동 Woodland 산림욕장 기본계획
-
안기완;
김은일;
박문수;
최태수;
;
(한국산림휴양학회지 =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,
v.6,
2002,
pp.31-42)
-
6.
- 소설교육에서 갈등을 중심으로 한 학습방안 연구 : 2007개정 국어과 7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
- 곽예슬
-
성신여자대학교, 국내석사,
v, 71장, 2011
-
7.
- 한국고전소설 현대역 텍스트 연구 : <홍길동전>, <사씨남정기>, <박씨전>을 중심으로
- 김명주
-
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vii, 168p., 2019
-
8
-
『해송동화집』의 이본과 누락된 「홍길동」의 의미
-
염희경;
인하대학교;
(동북아 문화연구,
v.1,
2014,
pp.179-195)
-
9
-
『매일신보』에 연재된 한문현토소설 「春桃奇遇」와 작자 李輔相
-
이대형;
동국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12,
pp.282-308)
-
10.
- 통일을 대비한 소설 교육 방안 연구
- 조성배
-
부경대학교, 국내석사,
iv, 96장, 200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