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,551건 중 1,000건 출력
, 1/100 페이지
-
1
-
旅軒의 성리학과 주자의 성리학
-
정상봉;
;
(儒敎 思想 硏究,
v.24,
2005,
pp.7-32)
-
2
-
조선 성리학의 전통에서 본 송시열의 성리학 사상
-
이봉규;
;
(韓國文化,
v.13,
1992,
pp.433-479)
-
3
-
<고산구곡가>의 성리학적 생태인식
-
김상진;
한양대;
(時調學論叢 = The Korean essays on Sijo literary science,
v.20,
2004,
pp.51-73)
-
4
-
성리학과 생태담론
-
이상호;
;
(오늘의 동양사상,
v.17,
2007,
pp.31-57, 311)
-
5
-
성리학의 인간관과 생활예절
-
김기현;
;
(儒敎 思想 硏究,
v.29,
2007,
pp.65-97)
-
6
-
A study of Korean neo-confucianism, Korean neo-confucian Man, and Korean neo-confucian daily activities as the multi-cultural competencies
-
Moon, Tae Soon;
;
(다문화콘텐츠연구 = Journal of multi-cultural contents studies,
v.32,
2019,
pp.129-151)
-
7
-
성리학과 기고봉
-
배종호;
;
(亞細亞 硏究,
v.16,
1973,
pp.35-63)
-
8
-
유배, 혁명, 그리고 「파리아(pariah)의 성리학」 - 우왕대(1375~1388) 정도전의 정치적 시련과 혁명적 성리학의 탄생
-
김영수;
;
(정치사상연구 = The Korean review of political thought,
v.12,
2006,
pp.7-32, 147)
-
9.
- 조선시대 성리학, 실학, 동학의 아동관 연구
- 백혜리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, 133p., 1997
-
10
-
성리학의 미래
-
Lee, Hongwoo;
;
(道德敎育硏究= (The)Journal of moral education,
v.28,
2016,
pp.171-20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