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서경식의 사유와 ‘방법으로서의 디아스포라’의 가능성
-
권혁태;
성공회대학교;
(사이間SAI,
v.0,
2024,
pp.113-146)
-
2.
- 서경식의 예술 비평 에세이 연구 : 디아스포라의 위치성과 타자 인식의 확장성
- 김다영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96 p., 2024
-
3
-
증인과 증언 불가능성 - P.레비, 아감벤, 서경식의 논의를 중심으로
-
이소영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이탈리아어문학,
v.0,
2016,
pp.65-83)
-
4
-
재일조선인 자기서사의 정체성 정치와 윤리-서경식의 ‘在日’ 인식 비판-
-
허병식;
동국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5,
pp.49-74)
-
5
-
일본에서 조선인으로 산다는 것 - 서경식,『역사의 증인, 재일조선인』(반비, 2012) 북콘서트에 다녀와서
-
박범희;
;
(역사와 교육,
v.2013,
2013,
pp.107-120)
-
6
-
[기획논문] 고뇌와 지성 - 최근 서경식의 사유와 글쓰기에 대해
-
권성우;
;
(세계한국어문학 = International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4,
2010,
pp.53-74)
-
7
-
재일 디아스포라 지식인의 에세이(글쓰기)에 나타난 민족주의/탈민족주의–강상중과 서경식을 중심으로–
-
권성우;
숙명여자대학교;
(우리문학연구,
v.0,
2017,
pp.297-326)
-
8
-
서경식의 사유와 ‘방법으로서의 디아스포라’의 가능성
-
권혁태;
성공회대학교;
(사이間SAI,
v.0,
2024,
pp.113-146)
-
9
-
재일조선인이라는 아포리아 ―서경식의 민족-민중론과 디아스포라론 재고(再考)―
-
조경희;
성공회대학교;
(사이間SAI,
v.0,
2024,
pp.147-180)
-
10
-
Automatic liver segmentation of a contrast enhanced CT image using a partial histogram threshold algorithm /
-
서경식;
;
(의공학회지 =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,
v.25,
2004,
pp.189-19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