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88건 중 388건 출력
, 1/39 페이지
-
1
-
북한사회 연구의 동향과 쟁점안
-
김귀옥;
;
(統一問題硏究 =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,
v.10,
1998,
pp.220-257)
-
2
-
비사회주의적 행위유형으로 본 북한사회 변화
-
최대석;
박희진;
;
(統一問題硏究 =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,
v.23,
2011,
pp.69-105)
-
3
-
북한사회 뇌물의 사회적 맥락
-
윤보영;
동국대학교;
(문화와 사회,
v.29,
2021,
pp.39-90)
-
4
-
교육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‘북한사회론’ 내용구성
-
조기제;
진주교육대학교;
(초등도덕교육,
v.0,
2020,
pp.1-26)
-
5.
- 90년대 경제난 이후 북한사회 및 주민의식 변화 연구
- 정진화
-
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162 p., 2021
-
6
-
북한사회와 자본주의 세계의 공존 : 이론과 가능성
-
김진환;
통일교육원;
(북한학연구,
v.14,
2018,
pp.5-40)
-
7
-
푸코의 몸·권력과 북한사회 신체왜소 적용가능성
-
김영희;
김병욱;
한국정책금융공사;
동국대학교;
(사회과학연구,
v.21,
2013,
pp.8-36)
-
8
-
한국전쟁이 남북한사회에 미친 이데올로기적 영향
-
정수복;
;
(統一問題硏究 =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,
v.2,
1990,
pp.112-143)
-
9
-
계급이론으로 바라본 북한사회
-
김진환;
국립통일교육원;
(통일연구,
v.26,
2022,
pp.5-50)
-
10
-
북한사회와 교육현실에 대한 소감
-
한만길;
;
(한국민주시민교육학회보 = The journal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,
v.4,
1999,
pp.178-18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