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원주지역 문화관광축제의 평가 및 운영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- 치악산 복사꽃 축제와 한지 문화제를 중심으로
-
유기준;
김정민;
;
(한국산림휴양학회지 =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,
v.7,
2003,
pp.49-57)
-
2
-
가와바타 야스나리(川端康成)의 『대나무소리 복사꽃』(竹の聲桃の花)의 주제와 생사관
-
권해주;
경상대학교;
(日本語敎育,
v.0,
2004,
pp.143-161)
-
3.
- <경산 반곡지 복사꽃길 걷기대회> 를 통해 본 지역축제의 정체성과 지속가능성
- 박진석
-
영남대학교, 국내석사,
ii, 76 p., 2018
-
4
-
A Study on Melodramatic features of Nam-gung, Man’s dramas in the period of directly after Korean Liberation
-
김향;
;
(한국극예술연구 =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,
v.42,
2013,
pp.149-186)
-
5
-
해방 직후 남궁만 희곡에서 구현되는 멜로드라마적 특성 연구- ⟨복사꽃 필 때⟩(1946), ⟨하의도⟩(1946), ⟨제주도⟩(1947), ⟨봄비⟩(1947), ⟨홍경래⟩(1947)를 중심으로 -
-
김향;
연세대학교;
(한국극예술연구,
v.0,
2013,
pp.149-186)
-
6
-
오세영 서정시의 미메시스적 읽기
-
최승호;
대구대학교;
(우리말글,
v.24,
2002,
pp.307-336)
-
7.
- 결핍에서 돋아나는, 시
- 허효순
-
한신대학교, 국내석사,
[iii], 46 p., 2018
-
8.
- 음악활동기반 문해교육 수업의 참여실천연구
- 이금배
-
동의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, 2018
-
9.
- 가와바타 야스나리(川端康成)의 생사관(生死觀)연구
- 권해주
-
高麗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250p., 2004
-
10
-
자원식물을 이용한 제주도 연중 축제 프로그램 개발
-
박석근;
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생명산업학과;
(한국자원식물학회 2010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,
v.2010,
2010,
pp.6-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