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미와 정치 : 낭만적 자아에서 숙명적 자아로의 유랑기 -이광수의 금강산유기(金剛山遊記)를 중심으로
-
복도훈;
;
(한국어문학연구 =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46,
2006,
pp.33-59)
-
2
-
단 한 명의 남자와 모든 여자 : 아마겟돈 이후의 유토피아와 섹슈얼리티 - 문윤성 과학소설, 『완전사회』(1967)에 대하여
-
복도훈;
;
(한국근대문학연구 =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,
v.2011,
2011,
pp.345-373)
-
3
-
미와 정치: 국토순례의 목가적 서사시 - 최남선의 『금강예찬』, 『백두산근참기 』를 중심으로
-
복도훈;
;
(한국근대문학연구 =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,
v.6,
2005,
pp.37-62)
-
4
-
대지와 그의 적들 - 칼 슈미트와 마르틴 하이데거의 ‘문학과 정치’에 대하여
-
복도훈;
;
(인문학연구 = Studies in the humanities :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,
v.45,
2011,
pp.93-125)
-
5
-
감염과 변이 -H. P. 러브크래프트의 소설과 『Project LC. RC』에 대하여
-
복도훈;
서울과학기술대학교 문예창작학과;
(대중서사연구 = Journal of popular narrative,
v.27,
2021,
pp.13-44)
-
6
-
변증법적 유토피아 서사의 교훈- 어슐러 K. 르귄의 『빼앗긴 자들』(1975)을 중심으로
-
복도훈;
서울과학기술대학교;
(한국예술연구,
v.0,
2020,
pp.227-248)
-
7
-
마니교 시대의 아포칼립스와 디스토피아 - 정용준 『바벨』, 손홍규 『서울』, 최인석 『강철 무지개』 등의 장편소설을 중심으로 -
-
복도훈;
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15,
pp.481-506)
-
8
-
범속한 세계에서의 교양의 (불)가능성에 대한 서사적 모험- 교양소설로서의 『광장』에 대하여
-
복도훈;
동국대학교;
(비교문학,
v.0,
2013,
pp.97-124)
-
9
-
The Emergence of Androids-Replicants Proletariats in Do Androids Dream of Electric Sheep?(1968) & Blade Runner(1982; 1993)
-
복도훈,;
;
(한국예술연구 = The Korean journal of arts studies,
v.16,
2017,
pp.99-122)
-
10
-
Settlement and Wandering, Two Aspects of Korean Picaresque Bildungsroman in the Late 1970s : Lee Mun-Yeol's A Portrait of Young Days (1981) and Park Tae-Soon's Yesterday's Winds (1979)
-
복도훈,;
;
(韓國文學硏究= Studies in Korean litererature,
v.58,
2018,
pp.241-27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