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베르길리우스의 장소의 시학 - 『아이네이스』 8권의 독해 -
-
차종호;
서울대학교;
(서양고전학연구,
v.60,
2021,
pp.189-221)
-
2
-
베르길리우스의 장소의 시학 - 『아이네이스』 8권의 독해 -
-
차종호;
서울대학교;
(서양고전학연구,
v.60,
2021,
pp.189-221)
-
3
-
베르길리우스의 『아이네이스』에 형상화된 로마의 이상적인 지도자 아이네아스
-
김기영;
서울대학교;
(서양고전학연구,
v.55,
2016,
pp.177-209)
-
4.
- 아우구스투스 시대의 시문학과 도시 로마의 기억 : 베르길리우스의 『아이네이스』 8권과 프로페르티우스의 『엘레기』 4권을 중심으로
- 차종호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v, 191, 2021
-
5
-
베르길리우스의 『아이네이스』에 형상화된 로마의 이상적인 지도자 아이네아스
-
김기영;
;
(서양고전학연구,
v.55,
2016,
pp.177-209)
-
6
-
길들여진 ‘운명’의 소리: 퍼셀의 《디도와 에네아스》(Dido and Aneas)
-
정경영;
한양대학교;
(음악이론연구,
v.37,
2021,
pp.11-37)
-
7
-
「아이네아스와 라비니아의 결혼」 : 몬테베르디의 분실된 베니스 오페라
-
변혜련;
명지대학교;
(이화음악논집,
v.14,
2010,
pp.35-51)
-
8.
- 朴壽根 作品의 樣式系譜 硏究 : 작품에 미친 서구사조의 영향을 중심으로
- 이시나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124 p., 2001
-
9.
- 아르카디아(Arcadia)로서 16세기 초 베네치아 회화에 나타난 전원 풍경
- 안지원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104p., 2001
-
10
-
사후세계 여행담과 네르발의 『오렐리아』
-
박혜영;
덕성여자대학교;
(프랑스어권 문화예술연구,
v.63,
2018,
pp.133-16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