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로컬문화의 쟁점
-
배윤기;
;
(로컬리티의 인문학 = The journal of localitology,
v.2008,
2008,
pp.3-3)
-
2
-
〈보더타운〉: 지구화와 로컬화의 현장
-
배윤기;
;
(문학과 영상= The journal of literature and film,
v.11,
2010,
pp.77-105)
-
3
-
극단 자갈치와 지역 문화 운동
-
배윤기;
;
(로컬리티의 인문학 = The journal of localitology,
v.2009,
2009,
pp.2-3)
-
4
-
의식의 공간으로서 로컬과 로컬리티의 정치
-
배윤기;
;
(로컬리티 인문학= The journal of localitology,
v.2010,
2010,
pp.107-138)
-
5
-
미국 문화정치 지형과 흑백 관계 - 『아미스타드』, 『베니토 세레노』, 『영웅 노예』를 중심으로
-
배윤기;
;
(새한영어영문학 = The New Korean Journal of English Language & Literature,
v.48,
2006,
pp.1-20)
-
6
-
창조도시와 로컬리티
-
이상봉;
강형기;
공윤경;
김상원;
손은하;
이상율;
배윤기;
;
(로컬리티 인문학= The journal of localitology,
v.2012,
2012,
pp.5-53)
-
7
-
우리 번역문화 형성을 위한 비판적 일 고찰
-
배윤기;
;
(새한영어영문학 = The New Korean Journal of English Language & Literature,
v.50,
2008,
pp.45-70)
-
8
-
제주해군기지 건설에 대한 로컬-기반의 이해와 로컬리티의 정치
-
배윤기;
;
(韓國民族文化,
v.2012,
2012,
pp.345-389)
-
9
-
문화 권력의 틈새 공간과 생성 로컬리티 - 조라 닐 허스턴의 이튼빌과 에버글레이즈
-
배윤기;
;
(새한영어영문학 = The New Korean Journal of English Language & Literature,
v.53,
2011,
pp.45-80)
-
10
-
경계 밖에서 만난 로컬리티
-
배윤기;
;
(로컬리티 인문학= The journal of localitology,
v.2012,
2012,
pp.267-27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