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알바니아의 태권도 사역을 통한 발칸반도의 선교전략 연구
- 김용기
-
亞細亞聯合神學硏究院, 국내석사,
iii, 90p., 2000
-
2
-
코소보 항공전 : 발칸반도에 밀어닥친 강철폭풍
-
Sundin13;
;
(월간항공 = Aerospace,
v.238,
2009,
pp.88-91)
-
3
-
대한토목학회 부산 · 울산 · 경남지회 하계해외현장 WORKSHOP을 다녀와서... - 발칸반도
-
Eun-Yeol Ryoo;
;
(대한토목학회지 =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magazine,
v.61,
2013,
pp.56-61)
-
4
-
몬테네그로 민족 정체성 논쟁: 발칸반도 정착부터 12세기 초까지
-
김철민;
;
(동유럽발칸연구,
v.36,
2013,
pp.307-334)
-
5
-
Implications for Korean Unification from the Case of Bosnia and Herzegovina in the Balkans : A Missiological Approach
-
Ha, Kwang Min;
;
(복음과 선교 = Journal of Korea evangelical missiological society,
v.68,
2024,
pp.311-347)
-
6
-
몬테네그로 민족 정체성 논쟁: 발칸반도 정착부터 12세기 초까지
-
김철민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동유럽발칸연구,
v.36,
2013,
pp.307-334)
-
7
-
제3의 성(性), 발칸반도 ‘비르쥐나(Virdžina)’의 문화사회적 의미에 관한 연구
-
김상헌;
;
(동유럽발칸연구,
v.39,
2015,
pp.93-110)
-
8
-
발칸반도 보스니아-헤르체고비나를 통해 본 한반도 통일 시사점 연구- 선교학적 관점을 중심으로
-
하광민;
총신대학교;
(복음과 선교,
v.68,
2024,
pp.311-347)
-
9
-
제3의 성(性), 발칸반도 ‘비르쥐나(Virdžina)’의 문화사회적 의미에 관한 연구
-
김상헌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동유럽발칸연구,
v.39,
2015,
pp.93-110)
-
10
-
경계의 언어, 경계의 민족 - 발칸반도 포막(POMAK) 소수민족의 언어적 정체성과 소외 연구 -
-
채유정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슬라브어 연구,
v.26,
2021,
pp.141-158)